안녕하세요! 김코딩입니다.
오늘은 Python 기초를 배우는 두 번째 시간이에요. 지난번에는 Python과 VS Code를 설치했죠? 이제 본격적으로 파이썬 기초 문법을 익혀볼게요. 변수, 데이터 타입, 조건문, 반복문을 사용하면 어떤 멋진 일들을 할 수 있는지 차근차근 알아보고, 마지막에는 간단한 계산기 프로그램도 만들어봅시다.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게 천천히 설명할게요!

1. Python 기초: 변수란 무엇일까?
변수를 사용하면 데이터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 꺼내 쓸 수 있어요. Python에서는 복잡한 선언 없이 바로 값을 넣으면 됩니다.
예시로 해보면:
name = "김코딩" # 내 이름을 저장
age = 25 # 나이를 저장
height = 175.5 # 키를 저장
- 변수 이름은 의미 있게 짓는 걸 추천해요. 예를 들어 age는 나이를 뜻하니 한눈에 이해가 되죠.
출력을 해보면 이렇게 됩니다:
print(f"안녕, 나는 {name}이야. 나이는 {age}세야!") # 출력: 안녕, 나는 김코딩이야. 나이는 25세야!
- f를 문자열 앞에 붙이면 변수 값을 문장에 자연스럽게 넣을 수 있어요.
2. Python 기초: 데이터 타입을 알아보자
Python 기초를 배우려면 데이터 타입을 이해하는 게 중요해요. 데이터 타입을 알면 계산이나 조건을 만들 때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. 자주 쓰이는 타입은 이런 것들이에요:
- 문자열(String): “Python”처럼 글자나 문장.
- 정수(Integer): 10이나 -5처럼 소수점 없는 숫자.
- 실수(Float): 3.14처럼 소수점이 있는 숫자.
- 불리언(Boolean): True나 False로 참과 거짓을 나타냄.
확인하려면 type()을 사용하면 됩니다:
print(type("Python")) # <class 'str'> → 문자열 print(type(2025)) # <class 'int'> → 정수 print(type(3.14)) # <class 'float'> → 실수
3. Python 기초: 조건문으로 똑똑하게 분기하기
조건문을 사용하면 상황에 따라 다른 결과를 만들 수 있어요. if를 쓰면 됩니다.
예를 들어:
age = 17 if age >= 19: print("성인이에요!")
else: print("아직 미성년자네요.") # 출력: 아직 미성년자네요.
- >=는 “크거나 같다”를 뜻해서 나이를 비교할 수 있어요.
- 들여쓰기를 4칸으로 맞추면 코드가 잘 실행됩니다.
조건을 더 넣으려면 elif를 사용하면 됩니다:
score = 92 if score >= 90: print("A학점! 축하해요!")
elif score >= 80: print("B학점, 잘했어요!")
else: print("조금 더 분발합시다!") # 출력: A학점! 축하해요!
4. Python 기초: 반복문으로 쉽게 반복하기
반복문을 사용하면 같은 작업을 여러 번 할 수 있어요. for와 while을 써봅시다.
4.1 for문
for를 사용하면 정해진 범위를 반복할 수 있습니다:
for i in range(1, 4): # 1부터 3까지
print(f"{i}번 안녕!") # 출력: # 1번 안녕! # 2번 안녕! # 3번 안녕!
4.2 while문
while을 사용하면 조건이 맞을 때까지 반복됩니다:
count = 0
while count < 3: print("Python 좋아요!")
count += 1 # count가 1씩 커짐 # 출력: Python 좋아요! (3번)
5. Python 기초 실습: 계산기 만들어보기
이제 지금까지 배운것들을 활용해 계산기를 만들어볼게요!
print("간단한 계산기 프로그램")
num1 = float(input("첫 번째 숫자: "))
num2 = float(input("두 번째 숫자: "))
print(f"덧셈: {num1} + {num2} = {num1 + num2}")
print(f"뺄셈: {num1} - {num2} = {num1 - num2}")
print(f"곱셈: {num1} * {num2} = {num1 * num2}")
if num2 != 0: # 0으로 나누지 않게
print(f"나눗셈: {num1} / {num2} = {num1 / num2}")
else: print("0으로는 나눌 수 없어요!")
- input()을 사용하면 내가 입력한 숫자를 받아올 수 있어요.
- float()을 쓰면 소수점 계산도 가능해집니다.
- if로 0 나누기를 막으면 오류가 안 나요.
예를 들어, 5와 2를 입력하면:
덧셈: 5.0 + 2.0 = 7.0 뺄셈: 5.0 - 2.0 = 3.0
곱셈: 5.0 * 2.0 = 10.0
나눗셈: 5.0 / 2.0 = 2.5
6. 더 배워볼 내용과 마무리
오늘은 파이썬기초로 변수, 데이터 타입, 조건문, 반복문을 배우고 계산기까지 만들어봤어요. 이런 기초를 잘 익히면 나중에 더 멋진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어요! 다음 글에서는 리스트와 함수를 배워볼게요. 리스트를 사용하면 여러 데이터를 한 번에 관리하고, 함수를 쓰면 코드를 더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.
궁금한 점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! 여러분의 질문이 저에게도 큰 힘이 됩니다. 😊
참고 자료: 더 궁금하다면 Python 기초를 배우기위한 공식문서를 추천드려요!
[…] Python 기초 반복문에서 배운 for 반복문과 파이썬 리스트를 합치면 더 유용해요. […]